페이지 안내

서울대 소식

뉴스

뉴스

서울대사람들 동문

점으로 세상을 표현하는 만화가

2015.07.22.

선우훈 동문
선우훈 동문

작은 점을 하나하나 찍어 만화를 그리는 작가가 있다. 2013년에 서울대학교 조소과를 졸업하고 웹툰 ‘데미지 오버 타임’을 연재한 만화가이자 만화평론가인 선우훈 씨다.

Q: 전공과는 다른 길, 만화를 그리게 된 계기는?

A: 맨 처음 미술을 배웠던 이유가 만화를 그리고 싶어서였다. 만화를 그리고 싶어 미술학원에 다녔는데, 만화를 제대로 그리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는 만화가가 되는 것을 포기했었다. 대학에 와서도 만화가가 될 생각은 없었지만 만화나 스토리 쓰는 일에는 관심이 있었다. 만화동아리에서 활동한 적도 있었고, 게임스타트업에서 게임스토리를 썼던 적도 있었다. 졸업한 후 스토리를 쓰는 일을 하다가 만화를 여러 포털사이트에 연재했고 다음 웹툰에 정식으로 연재하게 됐다.

Q: 도트라는 독특한 방식의 작업을 시작한 계기는?

A: 어렸을 때 집이 문구점을 했었다. 덕분에 문구점에 놓인 오락기를 통해 많은 게임을 할 수 있었다. 100원짜리 오락기로 ‘킹오브파이터즈’ 같은 격투게임을 주로 하면서 도트를 처음 접하게 됐고, 이후에도 전자오락을 즐겨하면서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한번은 학교 수업 과제로 도트를 통한 작품을 낸 적이 있었는데, 이를 계기로 도트를 통해 만화를 그려볼까하는 생각을 가지게 됐다.

웹툰 ‘데미지 오버 타임’
웹툰 ‘데미지 오버 타임’

Q: 연재하고 있는 ‘데미지 오버 타임’을 한 문장으로 표현해 주세요.

A: ‘인물들의 집단을 점들의 집합으로 표현하는 만화’ 작품을 구상하면서 형식과 내용이 합치되는 작품을 그리고 싶었다. 도트로 군대 이야기를 하는 것이 형식과 내용이 잘 합치된다고 생각했다. ‘데미지 오버 타임’은 ‘우리’는 누구인가하는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다. 작중 인물들이 ‘내가 잘해야 모두가 살 수 있어’라는 말을 하며 ‘우리’를 위해 일부가 죽어나간다. 그런 장면이 반복되면서 결국 ‘우리’는 누구인가하는 질문을 독자들에게 던지고 싶었다.

Q: 차기작에서 시도할 형식은?

A: 차기작에서도 마찬가지로 형식과 내용이 부합하는 작품을 그리고 싶다. 하지만 ‘데미지 오버 타임’ 만큼 형식에 부합한 내용을 그려낼 수 있을까하는 고민이 있다. 차기작에서도 도트를 통한 표현방식을 이어갈 것 같다. 도트를 통해 그리는 만화가 나를 표현하는 수식어가 되기를 원한다. 하지만 아직은 형식에 맞는 내용을 찾지는 못했다. 페미니즘 정도를 차기작 후보로 생각하고 있다.

Q: 만화 평론의 계기

A: (선 작가는 최근, 웹툰 비평 팟캐스트인 ‘주간웹툰’을 진행하고 있으며, 만화평론 신인상을 수상하며 평론가로 등단하였다.) 현재 만화비평계는 황무지라고 볼 수 있다. 젊은 사람들 중에는 활동하는 사람들이 고작 두세 명 정도에 불과하다. 만화비평의 대부분이 심도 없는 리뷰에 불과하고, 진지한 비평도 찾아보기 힘들다. 만화비평의 가뭄과 같은 현상에 문제점을 느낀 사람으로서 내가 할 수 있는 만화비평을 했을 뿐이다. 이번에 상을 받은 비평도 잘 쓴 글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워낙 응모한 글이 적었기 때문에 상을 받을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만화비평계의 환경이 조금 더 좋아져 많은 글들이 나왔으면 좋겠다.

Q: 서울대에서의 경험이 작가에게 미친 영향은?

전공 교육과 동아리 등 대학에서의 여러 활동들도 도움이 됐지만, 서울대의 사람들을 만난 것이 큰 도움이 됐다. 획일적인 고등학교에서의 만남이 아니라 서울대에 다니는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면서 내 자아를 찾을 수 있었던 것 같다. 그러면서 현실적으로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일까 생각하게 되었다. 남들처럼 회사원이 되고, 남부럽지 않게 살려고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나에게 부끄럽지 않도록 살고 싶었다. 혼자 힘으로라도 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일을 찾게 되었고, 만화작가가 되기로 결심한 이유 중 하나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