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뉴스
수강생의 참여로 완성되는 서울대학교박물관 ‘수요교양강좌’
박물관에는 학내 구성원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 이르기까지, 교양과 지식을 쌓고자 하는 사람들이 모여든다. 특히, 수요교양강좌 프로그램은 높은 만족도를 기록하고 있다.
서울대뉴스
가상현실(VR)로 보고, 듣고, 느끼는 교육을 만들다
지난 5월 11일(목) ‘가상현실(VR)을 활용한 교육 콘텐츠 연구개발 결과보고회’가 기초교육원 교수학습센터에서 개최됐다.
서울대뉴스
봄바람 따라 걷는 ‘같이’ ‘나눔’의 길, 학생사회공헌단 의류장터・동행우편함
봄을 맞이해 활기를 되찾은 캠퍼스에는 다양한 행사들이 가득하다. 그중에는 ‘지속가능한 삶’을 고민해보고, ‘함께 살아가는 우리’를 돌아보게 하는 뜻깊은 행사들도 존재한다.
언론 속 서울대
김필립 하버드대 교수, 벤저민 플랭클린 메달 수상…美의 노벨상
김필립 미국 하버드대 교수(물리학과 86학번, 석사 90학번)가 ‘미국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벤저민 프랭클린 메달(Benjamin Franklin Medal)을 받았다.
서울대뉴스
3년 만에 달리는 캠퍼스, 2023 서울대학교 종합마라톤 대회 개최
매일 오가는 캠퍼스에서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는 ‘2023학년도 서울대학교 종합마라톤 대회’가 5월 19일, 관악캠퍼스 종합운동장에서 열렸다.
서울대뉴스
종합운동장 가득 채운 다둥이들, ‘트윈 플러스 홈커밍데이’ 열려
지난 13일(토), 종합운동장에서 쌍둥이, 세쌍둥이, 네쌍둥이 등 다둥이 가족이 한자리에 모이는 ‘트윈 플러스 홈커밍데이’가 열렸다.
연구성과
원편광 감지용 ‘나선형 고분자 반도체’ 개발
화학생물공학부 오준학 교수팀이 원편광의 선택적 감지가 가능한 고분자 반도체 기반 나선형 초분자체 제작과 이를 활용한 고성능 원편광 감지 및 이미징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인터뷰
[샤로잡다] 한국 인구문제,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
초유의 저출산 고령사회 한국, 인구 문제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
보도자료
‘서울대학교 ESG 보고서’ 발간
ESG위원회가 출범 이후 약 6개월간 활동을 거쳐 국내 대학 부문으로는 첫 번째 ESG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서울대뉴스
“우리 학교에 이런 수업이?” 서울대 이색 수업을 소개합니다!
2023년 1학기 기준 서울대에는 총 7,492개의 교과목이 개설되어있다. 학교의 큰 규모만큼이나 다양하고 이색적인 수업은 학생들에게 잊을 수 없는 경험을 제공한다.
인터뷰
반도체 패러다임 바꿀 발견으로 ‘훔볼트상’ 수상
물리천문학부 차국린 교수가 훔볼트상을 수상했다. 훔볼트상은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이 상을 받은 후 노벨상을 수상한 사람이 59명에 이른다.
서울대뉴스
심리상담부터 경력개발까지, “학생생활문화원”으로 오세요
대학생은 다양한 고민을 안고 살아간다. 학업 문제, 이성 문제, 진로 문제 등 여러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체계적인 도움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샤로잡다] 한국 인구문제,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webdata/boardimages/konews/abbzfb3zb28zbcfz1d7zb1fzcbdz118z317zce1zbb.jpg)



섹션명
시흥캠퍼스 육해공 미래모빌리티 비전 선포식
시흥캠퍼스 육해공 미래모빌리티 비전 선포식
06.07.(수)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는 1단계 준공 3주년을 맞이하여 육해공 미래 모비리티 비전 선포식과 포렴을 다음과 같이 개최합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SNUDataScienceSeminar 6.7(수)9시: Data Science for Online Ad, 실리콘 밸리 MOLOCO 권재명 박사
SNUDataScienceSeminar 6.7(수)9시: Data Science for Online Ad, 실리콘 밸리 MOLOCO 권재명 박사
06.07.(수)서울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에서는 매주 연사 초청 강연 SNUData Science Seminar을 개최합니다.
이번 주 연사는 MOLOCO의 데이터사이언스 팀 Direc...
[아시아연구소] 아시아브리프/챗GPT 세미나(6월 7일)
[아시아연구소] 아시아브리프/챗GPT 세미나(6월 7일)
06.07.(수)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아시아 브리프는 < 초거대 AI가 만드는 미래 >라는 주제하에 챗GPT 세미나를 진행합니다.
[학술]Resisting Populism:Lessons from Turkish Electoral Mobilization
[학술]Resisting Populism:Lessons from Turkish Electoral Mobilization
06.07.(수)연계전공 유럽지역학에서는 6월 7일(수) 오후 3시부터 Ozyegin University의 Evren Balta 교수님을 모시고 Resisting Populism: Lessons ...
Jun
J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