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mRNA 백신 작동원리 세계 최초 규명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 연구팀
새로운 치료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는 mRNA 백신을 더욱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실마리를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석좌교수 연구팀이 밝혀냈다.
연구성과 게시판

성인에서의 항생제 노출과 우울증 위험 연관관계 확인
의과대학 박상민 교수 연구팀
의과대학 박상민 교수 연구팀이 성인에서의 항생제 노출이 우울증 위험과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배부름을 느끼게 하는 비밀, 서울대 연구진이 찾았다!
뇌인지과학과 최형진 교수팀
뇌인지과학과 최형진 교수 연구팀이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계열 비만 치료제가 체중을 줄이는 원리를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미생물의 유전자 발현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새로운 방법 개발
화학생물공학부 서상우 교수 연구팀
화학생물공학부 서상우 교수팀이 미생물 세포공장에서 유전자 발현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합성생물학 방법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위암 전이 경로 밝혀낸 연구, 맞춤형 치료와 신약 개발 기대
치의학대학원 김기태 교수 연구팀
치의학대학원 김기태 교수 연구팀이 새롭게 찾아낸 msEMT 유전자 세트를 통해 위암 전이를 주도하는 분자 기전이 경로별로 다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고 밝혔다.

유전체 주석 프로그램 정확도 최대 20% 향상 알고리듬 발표
농생명공학부 김희발 교수 연구팀
농생명공학부 김희발 교수팀은 최근 특정 경로에 있는 유전자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유전체 주석달기 프로그램 페이지서치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구온난화로 가열되는 바다, 탄소중립 실현으로 식혀야
지구환경과학부 조양기 교수팀
지구환경과학부 조양기 교수팀이 2050 탄소중립을 실현하면 해양열파의 강도와 지속시간이 현재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고 밝혔다.

미토콘드리아 열 발생에 의한 새로운 미토콘드리아-핵 역행 “열” 신호전달 경로 규명
화학부 이현우 교수 공동연구팀
화학부 이현우 교수 공동 연구팀이 미토콘드리아에서 발생하는 열이 산소 환원 반응에 의해서도 일어나는 것을 규명하였다고 밝혔다.

물의 증발 및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반도체 나노채널에서의 멕센 광열 강화 에너지하베스팅 효과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 연구팀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 연구팀이 반도체 물질의 전자 이동과 전해질 이온의 맞물림 현상을 이용해 에너지를 수확하였으며, 2차원 물질인 Mxene의 태양광 흡수 특성 을 활용해 전력 생산을 증대시키는 기술을 개발하였다고 밝혔다.

카이랄 나노구조를 이용한 새로운 단일광자원 구현
물리천문학부 박홍규 교수ㆍ재료공학부 남기태 교수 공동 연구팀
물리천문학부 박홍규 교수ㆍ재료공학부 남기태 교수 공동 연구팀이 원형 편광된 단일 광자를 발생시키는 새로운 단일 광자 발생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패턴인지형 차세대 뉴로모픽 인공 후각 시스템 개발
화학생물공학부 오준학 교수 공동 연구팀
화학생물공학부 오준학 교수 공동 연구팀이 인간의 후각 수용체와 뉴로모픽 소자를 결합한 차세대 인공 후각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