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mRNA 백신 작동원리 세계 최초 규명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 연구팀
새로운 치료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는 mRNA 백신을 더욱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실마리를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석좌교수 연구팀이 밝혀냈다.
연구성과 게시판

양돈 산업에서의 다제내성 살모넬라균 제어를 위한 Cornellvirus 속 신생 박테리오파지 SLAM_phiST1N3의 분자유전학적 특성 규명
농생명공학부 김영훈 교수 연구팀
농생명공학부 김영훈 교수 연구팀이 돈육 제품으로 출시되는 전반적인 양돈 생산 과정에서 살모넬라 파지인 SLAM_phiST1N3가 전방위적으로 살모넬라 예방 및 제어에 유의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뇌 내 갑상선 호르몬 결핍, 알츠하이머병의 병리 현상 가속화
의과대학 묵인희 교수 연구팀
의과대학 묵인희 교수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병리와 갑상선 기능 저하증, 특히 뇌 내 갑상선 호르몬 결핍 간의 상호 관계를 최초로 규명하였다고 밝혔다.

신경 시냅스 구성 단백질 상분리 거동 규명
기계공학부 신용대 교수 공동연구팀
기계공학부 신용대 교수 공동연구팀이 억제성 시냅스를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들을 모델로 하여 여러 생체분자로 구성된 상분리 시스템이 어떻게 열역학적으로 조절되고, 나아가 이러한 거동이 어떻게 억제성 시냅스 형성 과정에 기여하는지 규명하였다고 밝혔다.

당뇨치료제와 신규 프로바이오틱스 병용 효과 규명
국제농업기술대학원 허철성 교수팀
제2형 당뇨는 식이습관, 운동 부족, 유전자 결핍 등의 환경적 유전적 요인에 의한 인슐린 민감성 감소로 인하여 혈액 내 포도당 불균형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제2형 당뇨환자의 발병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담낭절제술 후 단기적으로 신체 대사 지표의 향상이 일어나고 장기적인 심뇌혈관질환과의 연관성이 낮아질 수 있다.
의과대학 박상민 교수팀
담낭절제술 환자는 단기적으로 심혈관질환 위험이 상승했는데, 이는 수술 전 환자의 특성 때문일 것이다. 담낭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2년 후 담낭절제술과 심혈관질환의 연관성이 감소하여 대사건강의 개선으로 담낭절제술 후 2년 후에는 담낭절제술 관련 심혈관질환 위험 상승이 개선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7차원 망원경 첫 관측 영상 최초 공개
물리천문학부 임명신 교수팀
서울대학교 연구진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과학난제도전융합연구개발사업 중력파우주연구단(연구책임자: 서울대학교 이형목 교수) 사업 일환으로 개발한“7차원 망원경(영어명: 7-Dimensional Telescope, 약자: 7DT)”의 첫 관측 영상이 최초로 공개되었다.

2차원 물질 기반 전기적으로 구속된 중성 엑시톤의 전계발광 최초 구현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연구팀은 전기적으로 구속된 중성 엑시톤의 전계발광을 2차원 물질 기반의 발광 트랜지스터에서 최초로 구현하였으며, 이를 통해 2차원 물질 기반 발광소자 중 가장 높은 8.2 %의 외부 양자 효율을 달성하였다.

페로토시스 유도 나노입자와 X선 조사를 활용한 효과적인 복합 항암치료 가능성 규명
응용바이오공학 이강원 교수팀
암 나노 의학에서 나노입자를 이용한 항암 치료는 유망한 치료 접근법이라고 주목받고 있지만, 독성, 부작용 등의 안전성 문제가 있어 임상 적용까지는 어려움이 있음. 실제 항암 임상에서 단독요법보다는 다양한 병용요법을 통해 치료 효과를 극대화 하고 있음.

식물 캘러스 줄기세포의 전분화능을 낮추는 핵심 원인 규명
화학부 서필준 교수팀
게놈에디팅 기술을 비롯한 유전공학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식물종을 대상으로 생명공학 육종이 활발히 시도되고 있음. 하지만 게놈에디팅된 세포 및 조직을 다시 성체로 재분화시키는 조직배양 기술의 한계로 인해 작물 유전공학은 현재까지도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