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mRNA 백신 작동원리 세계 최초 규명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 연구팀
새로운 치료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는 mRNA 백신을 더욱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실마리를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석좌교수 연구팀이 밝혀냈다.
연구성과 게시판

살아있는 세포처럼 변형·분리·합체하는 액체 로봇 개발
기계공학부 김호영 교수 · 재료공학부 선정윤 교수 공동 연구팀
기계공학부 김호영 교수 · 재료공학부 선정윤 교수 공동 연구팀이 액체 기반의 차세대 소프트 로봇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대규모 언어모델로 신소재 합성 가능성 예측·해석하는 기술 개발
화학생물공학부 정유성 교수 연구팀
화학생물공학부 정유성 교수 공동 연구팀이 대규모언어모델을 활용해 신소재의 합성 가능성을 예측하고, 그 예측 근거를 해석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지구온난화로 전 지구 육지의 물이 줄어들고 있다
지구과학교육과 서기원 교수 연구팀
지구과학교육과 서기원 교수 공동 연구팀이 줄어든 육지 물의 양만큼 해수면이 상승되었을 것으로 가정하여 인공위성으로 관측한 해수면 변화 신호를 분석하고, ERA5-Land 모델로 예측한 해수면 상승과 일치하는 관측 값을 확인하였다고 밝혔다.

고령 인구에서의 미세먼지 단기 노출과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 연관 관계 확인
의과대학 박상민 교수 연구팀
의과대학 박상민 교수 연구팀이 65세 이상 고령인구를 대상으로 PM2.5와 PMcoarse의 단기 노출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심혈관질환의 세부 유형별 연관성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이산화탄소 전환 속도 향상 극대화, 전해질 내 물 역할 조절이 관건
화학부 황윤정 교수 연구팀
화학부 황윤정 교수 연구팀이 산성 환경에서 전기화학적 CO2 환원 반응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을 제시했다.

혈관구조가 포함된 근육 모사체를 이용해 대면적 근육 손상 치료
치의학대학원 김우진 교수 연구팀
치의학대학원 김우진 교수 연구팀이 혁신적인 바이오제작 기술과 줄기세포 기술을 결합한 전략을 도입하여 대규모로 확장 가능한 혈관 구조를 포함하는 근육 섬유 다발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40세 이상 성인 담낭절제술과 우울증 및 자살 간의 연관관계 확인
의과대학 박상민 교수 연구팀
의과학과 박상민 교수 연구팀이 담낭절제술이 수술 후 단기적인 우울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장기적인 우울증 위험과 자살 위험과는 유의한 연관성이 없다는 연구 결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측중격 성상교세포 규명
치의학대학원 최세영 교수 연구팀
치의학대학원 최세영 교수 연구팀이 성상교세포가 신경회로의 조절자로서 스트레스 반응성을 조절하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함을 밝혀냈다.

고효율·저비용으로 친환경 수소 생산 가능한 전기화학 촉매 개발
재료공학부 김진영 교수 연구팀
재료공학부 김진영 교수 공동 연구팀이 차세대 친환경 수소 생산을 선도할 전기화학 촉매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AI 기반 복부 CT 영상을 활용한 심혈관질환 위험 예측 모델 개발
의과대학 박상민 교수 공동연구팀
의과대학 박상민 교수 공동연구팀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기술을 활용해 심혈관질환(CVD)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혁신적인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