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RNA 유전자 치료제 개발 새 가능성 열었다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팀
생명과학부 석좌교수 김빛내리 교수 연구팀이 마이크로RNA 생성과 RNA 치료제에 중요한 ‘다이서(DICER) 단백질’의 핵심 작동 원리를 밝혀냈다.
연구성과 게시판

콜레스테롤의 오랜 노화 유발 수수께끼, 드디어 풀렸다! 새로운 노화 치료제 개발 돌파구
생명과학부 강찬희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강찬희 교수 연구팀이 ABCA1 표적 약물을 통한 리소좀 내 콜레스테롤 축적의 제어가 노화 연관 염증 반응과 세포 노화를 억제함으로써 대표적인 노화 연관 질환 중 하나인 퇴행성관절염의 증상을 크게 완화할 수 있음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밝혔다.

금속효소 내부에 숨겨진 소수성 아미노산의 역할 규명
화학부 송윤주 교수 연구팀
화학부 송윤주 교수 연구팀은 금속효소의 실험실 내 유도진화를 통해, 효소가 새로운 금속 이온에 맞도록 서열을 변형시켰으며, 그 결과 기존에 별다른 역할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소수성 아미노산 네트워크가 효소 반응성 조절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규명하였고 밝혔다.

빛을 이용해 방향족 알코올을 합성하는 효소 개발
화학부 송윤주 교수 연구팀
화학부 송윤주 교수 연구팀이 무한대에 가까운 단백질 서열의 조합과 두 촉매 사이의 협동 효과를 통한 인공 생촉매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OsLKP2 유전자의 벼 가뭄 스트레스 저항성 조절기작 규명
농림생물자원학부 백남천 교수 연구팀
농림생물자원학부 백남천 교수 연구팀은 벼 LOV KELCH REPEAT PROTEIN 2 유전자 돌연변이체가 가뭄 스트레스 조건 하 잎 표면 큐티클 왁스 생합성을 촉진함으로서 내건성 표현형을 나타냄을 규명하였다고 밝혔다.

원예작물 오이 쓴맛 및 향기 성분 특성 분류를 통한 독립적 순화 설명
농림생물자원학부 이은진 교수 연구팀
농림생물자원학부 이은진 교수 공동 연구팀이 오이의 쓴맛과 향기 성분을 분류하여 향기와 과실 표현형 사이의 관계, 교잡이 성분에 미치는 영향 등을 밝혀냈다.

기억의 상태에 따른 생체 내 시냅스 변화 규명
생명과학부 강봉균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강봉균 교수 연구팀은 최초로 이광자 현미경과 dual-eGRASP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다양한 시점에서의 시냅스 관찰에 대한 가능성을 열었다고 밝혔다.

Off-the-shelf의 기성품 인공 간 개발의 전기 마련
수의학과 강경선 교수 연구팀
수의학과 강경선 교수 연구팀은 기존 생체 스캐폴드의 한계를 극복하고 인공 간의 이식 거부 반응 억제 및 재생능을 극대화한 차세대 조직공학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골형성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의 역할 규명
치의학대학원 이윤실 교수 연구팀
치의학대학원 이윤실 교수 연구팀이 조골세포가 활성화되면 세포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가 세포 밖으로 분비되어 골전구세포가 조골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촉진시키고, 이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의 형태가 도넛 모양으로 변한 후 작게 분열하여 세포 밖으로 분비되기 좋은 형태를 갖게 된다는 것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대장염 면역 조절을 위한 비장 표적 황화수소 전달 나노약제 개발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임형준 교수 연구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임형준 교수 연구팀은 안정적이며 전신 면역 효과를 유도하기에 최적화된 비장 표적 황화수소 전달 나노 입자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겨울저온 인지 기작의 발견
생명과학부 이일하 교수 연구팀
구소련 과학자 라이센코는 밀, 보리 겨울종을 이용하여 겨울저온에 의해 꽃이 피는 현상인 춘화처리를 연구하였다. 그러나 춘화처리의 분자 기작인 후성유전학은 21세기에 들어서서야 생물학의 주요 관심사로 연구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