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RNA 유전자 치료제 개발 새 가능성 열었다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팀
생명과학부 석좌교수 김빛내리 교수 연구팀이 마이크로RNA 생성과 RNA 치료제에 중요한 ‘다이서(DICER) 단백질’의 핵심 작동 원리를 밝혀냈다.
연구성과 게시판

DNA 상분리를 이용한 분자연산 가속화 플랫폼 개발
기계공학부 신용대, 김도년 교수 공동 연구팀
기계공학부 신용대, 김도년 교수 공동 연구팀이 상분리 현상을 활용해 분자진단 및 DNA 연산 가속화를 위한 핵심 원천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항생제 장기 처방, 치매 위험 높일 수 있어
의과대학 박상민 교수 연구팀
의과대학 박상민 교수 연구팀은 치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항생제 장기 사용이 치매 발생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나비 날개를 모사하여 색상 구현 및 복사 냉각이 가능한 기판 개발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 연구팀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 공동연구팀은 나비 날개를 모사하여 색상 및 복사 냉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기판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 척추동물 유전체에서 수천개의 유전자 조립 오류 발견
농생명공학부 김희발 교수 연구팀
농생명공학부 김희발 교수팀은 기존에 조립된 표준유전체로부터 수천개의 유전자 조립 오류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빛나는 분자로 숨은 바이러스 찾기
화학부 이동환 교수 공동연구팀
화학부 이동환 교수 연구팀은 세포 소기관인 소포체 내의 미세한 환경 변화를 감지하여,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에서만 밝게 빛나는 형광체를 개발하여 단일 세포 수준에서 조류인플루엔자를 검출하는 방법을 발명했다고 밝혔다.

눈 움직임과 인지행동 컴퓨터 모델링을 통한 ‘주의집중 3요소’의 뇌 인지기능 규명
생명과학부 김형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김형 교수 연구팀이 뇌 기능 연구와 인지장애 진단을 위한 눈 움직임 분석 기반 인지기억행동 패러다임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빠르고 정확한 유전체 희귀변이 연관성 분석 방법 개발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이승근 교수 연구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이승근 교수 연구팀이 바이오뱅크의 대규모 시퀀싱 데이터에서 희귀유전자 분석을 가능케 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신체활동과 관련된 유전적 배경의 발견 및 질병 예방
통계학과 박태성 교수 연구팀
통계학과 박태성 교수 국제 공동 연구팀이 능동적 혹은 수동적 신체 활동과 관련된 DNA 영역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차세대 반도체 소재 이황화몰리브덴의 전자 이동도를 극대화하는 도핑 방법 제시
물리천문학부 이탁희 교수 연구팀
물리천문학부 이탁희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는 이황화몰리브덴의 전자 이동도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한국의 인공태양 KSTAR 꿈 앞당긴다
원자핵공학과 나용수 교수 연구팀
원자핵공학과 나용수 교수 연구팀은 한국의 인공태양이라 불리는 KSTAR에서 1억도 초고온, 고성능 플라즈마를 얻는 새로운 운전 방법을 발견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