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mRNA 백신 작동원리 세계 최초 규명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 연구팀
새로운 치료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는 mRNA 백신을 더욱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실마리를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석좌교수 연구팀이 밝혀냈다.
연구성과 게시판

실크의 인공방사를 위한 생체모사 친환경 공정 개발
농림생물자원학부 이기훈 교수팀
연구팀은 누에 실샘 내에 가장 풍부한 칼슘 이온이 실크 피브로인의 액체-액체 상분리를 유도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작물 역병에 대한 비기주저항성 유전자 동정기술 개발
식물면역연구센터 최도일 교수팀
서울대학교 식물면역연구센터 연구진(과제책임자: 최도일 석좌교수, 연구원 오수현 박사)은 유전체정보 분석 및 실증실험을 통하여 아이랜드 대기근 병원체인 감자역병균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들이 다른 작물을 침해하는 다양한 역병균에 대해서도 저항성을 매개할 수 있는 비기주저항성 유전자임을 밝혀 Nature Communications 온라인판에 11월 20일 게재하였음.

40~69세 사이의 제2형 당뇨 환자에서 DPP4 억제제에 비교한 SGLT2 억제제의 치매 위험에 대한 효과
의과대학 강은하 교수팀
근본적인 치료제가 없는 불치병인 치매 그리고 치매 발생위험이 2배 증가하는 당뇨라는 측면에서, 기존 당뇨치료제 중 하나인 SGLT2 억제제의 치매 예방 및 진행 지연 가능성에 대한 clue를 제시하였다.

SNP 데이터 활용 유전적 거리 기반 친족 관계 분석 시스템 개발
의과대학 조소희 교수팀
대규모 SNP 데이터 기반의 유전적 거리 친족 관계 식별법을 실제적으로 활용 가능한 효율적인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필터 교체 필요없는 미세 버블 공기 정화 시스템 개발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 연구팀이 폐기물이 나오는 기존 고체 필터 대신 물을 이용한 미세 버블 필터를 사용한 친환경 공기 정화 시스템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인간 혈관 오가노이드를 이용하여 처음으로 동맥경화증 모델링 및 약물평가법 제시
수의과대학 강경선 교수팀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강경선 교수 연구팀은 생체 혈관을 모사한 혈관 오가노이드 내 동맥경화증 표현형 재현에 최초로 성공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나노 크기의 산화그래핀의 면역 조절을 통한 치료 효능을 확인하였다.

고체의 양자기하학적 구조 측정
물리천문학부 양범정 교수팀
본 연구팀은 양자상태의 기하학적 구조를 기술하는 양자 기하 텐서를 측정할 수 있는 이론적인 방법을 고안했고, 해외 연구팀과의 협업을 각 분해 분광학 측정결과에서 양자기하텐서를 추출하는데 성공하였다.

비음주자 그룹을 대상으로 음주량의 변화가 우울증 및 자살 위험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의과대학 박상민 교수팀
본 연구는 비음주자 그룹을 대상으로 음주량의 변화가 우울증 및 자살 위험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경미한 음주량 증가가 우울증 위험을 낮추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울릉도 화산 샘의 물 및 가스 지구화학: 동북아시아 상부 맨틀 기원 휘발성 성분 배출 시사점
지구환경과학부 이현우 교수팀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화산학·휘발성 성분 연구실은 울릉대 화산체의 균열대에서 배출되는 지하수 내 용존된 가스 성분을 최초로 분석하였고 그 성분이 상부 맨틀이 용융된 마그마에서 기원한 화산가스라는 것을 제시하여 국제학술지 Journal of Hydrology에 2024년 11월 14일 온라인 판으로 게재되었다.

식물 병원성 곰팡이의 새로운 병원성 메커니즘 규명
농생명공학부 이용환 교수팀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이용환 석좌교수 연구팀은 벼 도열병균의 핵 이펙터인 MoHTR1이 기주식물 내에서 핵으로 이동하는 기작을 처음으로 규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