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냉각이 필요없는 적외선 센서를 위한 원자 단위 리프트-오프 에피택셜 박막 박리
물리천문학부 장소연 교수팀
물리천문학부 장소연 교수팀이 별도의 냉각 장치 없이도 작동 가능한 세계 최고 성능의 적외선 센서를 구현하는 데 핵심적인 박막 박리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정밀 게놈 지도가 보여주는 염색체 진화 현장
생명과학부 이준호 교수 연구팀
생물 종마다 고유한 염색체의 수와 모양을 가지는데, 이는 생물의 진화 과정을 밀접하게 반영하고 있다. 이런 진화 과정을 생명과학부 이준호 교수 연구팀이 자세하게 밝혔다.

염색체 구조 제어를 통한 항비만 기전 규명
생명과학부 김재범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김재범 교수 연구팀은 비만 시 관찰되는 거대 지방세포의 형성을 억제하는 새로운 제어기전을 규명하였다.

빛을 완벽하게 흡수하는 초흡수 현상 최초 구현
물리천문학부 안경원 교수 연구팀
빛을 빠르게 모조리 흡수하는 초흡수 현상이 물리천문학부 안경원 교수 연구팀에 의해 처음으로 구현됐다.

AI 분야 딥 러닝 핵심 소프트웨어 개발
컴퓨터공학부 이재진 교수 연구팀
최근 인공지능(AI)과 빅 데이터 분야는 딥 러닝 기술이 필수인데, 국내 연구진이 이 딥 러닝 기술에 핵심인 딥 러닝 컴파일러 프레임워크 기술을 개발했다.

리튬이차전지 전극을 수소 생산 물 전기분해 촉매로 개발
화학부 임종우 교수 연구팀
화학부 임종우 교수 연구팀은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수소기체를 얻을 수 있는 물 전기분해(수전해) 촉매를 개발하였다.

"텔로미어 인듯 텔로미어 아닌 텔로미어 같은" 새로운 기전 규명
생명과학부 이준호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이준호 교수 연구팀이 생쥐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하여 포유류 염색체 말단의 텔로미어가 새롭게 재구성 되는 구조를 발견했다.

해양 와편모류 신종에 국내 학자 이름을 따서 명명
지구환경과학부 정해진 교수 연구팀
지구환경과학부 정해진 교수 연구팀은 진해만에서 발견한 신종 해양와편모류*에 본교 심재형 명예교수의 성(姓)을 따서 명명하였다.

바이러스 점핑유전자에 의한 인류 진화 기전 규명
생명과학부 안광석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안광석 교수 연구팀은 L1이 어떻게 유인원 유전체 내에 성공적으로 정착하게 되었는지를 규명하였다.

꿈의 소재 그래핀양자점을 이용한 불치의 소아치매 치료제 가능성 제시
수의대 강경선 교수 연구팀
수의대 강견선 교수 연구팀이 그래핀과 그 유도체들을 나노 약물로 의학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노력 끝에 희귀 퇴행성 뇌질환에서의 치료 효과를 처음 밝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