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mRNA 백신 작동원리 세계 최초 규명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 연구팀
새로운 치료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는 mRNA 백신을 더욱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실마리를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석좌교수 연구팀이 밝혀냈다.
연구성과 게시판

‘투명인간처럼’ 위장 가능한 전자 피부 개발
기계항공공학부 고승환 교수팀
기계항공공학부 고승환 교수 연구팀이 〈공각기동대〉같은 SF 영화에서 주로 볼 수 있었던 투명 슈트를 연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심장 수술 안정성 높일 인공 근육 형태의 초소형 유연 구동기 개발
기계공학부 박용래 교수 연구팀
서울대 기계공학부 박용래 교수팀이 인공근육 형태의 초소형 유연 구동기를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수소 시대 앞당길 광합성 원리 모방한 망간 물 산화 촉매 개발
재료공학부 남기태 교수 연구팀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남기태 교수 연구팀이 미래 에너지로 손꼽히는 수소 생산 및 이산화탄소 환원을 통한 연료 생산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AI 학습 및 추론 수행시 기존 대비 22배 빠른 님블(Nimble) 시스템 개발
컴퓨터공학부 전병곤 교수 연구팀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전병곤 교수 연구팀이 그래픽 처리 장치(GPU)를 활용하여 인공지능 학습과 추론 수행시 기존 시스템 대비 최대 22배 빠른 님블(Nimble)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Post-리튬 이차전지 개발해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게재
재료공학부 강기석 교수 연구팀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강기석 교수 연구팀이 Post-리튬 이차전지를 개발해 학계의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연구 논문은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Nature Nanotechnology)〉에 11월 2일자로 게재되었다.

이온-고체 표면의 전기적 상호작용 규명
화학생물공학부 김연상 교수 연구팀
물의 순환 과정에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에너지 하베스팅'이 주목받는 가운데, 에너지 준위 변화를 이용한 새로운 방식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골다공증 표적 단백질의 작용 원리 규명
생명과학부 최희정 교수 연구팀
골다공증은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이며 골다공증성 골절로 인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는 위험한 질병이다. 특히, 폐경 이후 여성은 골다공증 위험도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이렇다 할 증상이 없어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아 혁신적인 치료제 공급이 요구되고 있다.

딥러닝 기술 활용 연구로 뇌영상 분야 1위 저널에 논문 게재
전기정보공학부 안홍준 학부생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차국헌)은 전기정보공학부 4학년 안홍준 씨(24세)가 딥러닝 기술을 뇌영상에 적용한 연구로 뇌영상 분야 1위 저널인 〈NeuroImage〉에 논문을 게재했다고 19일 밝혔다.

난치성 육종암의 표적 항암치료 길, 국내연구진이 열었다
생명과학부 김진홍 교수 연구팀
생존율의 뚜렷한 향상 없이 몇십 년간 답보상태에 머무르고 있는 연골육종의 새로운 치료방법에 대한 근거가 제시됐다.

아프리카소 진화의 비밀 국내연구진 풀어, 유전학 최고 권위지 표지논문 선정
농생명공학부 김희발 교수팀
농생명공학부 김희발 교수팀이 주도한 국제 연구진이 8년 간의 연구 끝에 아프리카소의 진화와 적응의 역사를 풀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