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mRNA 백신 작동원리 세계 최초 규명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 연구팀
새로운 치료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는 mRNA 백신을 더욱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실마리를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석좌교수 연구팀이 밝혀냈다.
연구성과 게시판

스트레스에 의한 기억력 저하 원인 규명
수의대 한호재 교수 연구팀
당질코르티코이드에 의해 수용체 매개 생리학적 미토콘드리아 자가 탐식 현상 제어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자폐성 장애 원인 유전자의 새로운 신경기능 저해 기전 규명
의대 장성호 교수 연구팀
대뇌 신경세포에서 자폐성 뇌발달장애 원인 유전자로 알려진 SCAMP5와 NHE6가 직접적 상호작용을 통해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조절하는 기전을 규명

단백질 항상성 조절을 통한 신경세포사멸 저해
화학부 박승범 교수팀
치매,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병변중의 하나인 타우단백질의 응집을 저해하는 신규 약물 후보물질을 표현형 기반 스크리닝으로 발굴, 세포내 작용기작을 밝히고, 동물 모델에서 효능을 확인하여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 실마리를 얻었다.

마스크가 필요 없는 디지털 노광기로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미세 패턴 제작
물리천문학부 전헌수 교수 연구팀
국내 연구진이 마스크가 필요 없는 디지털 노광기로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미세 패턴 제작에 성공하여 차세대 저비용, 고효율 리소그래피 기술 구현의 기대를 모은다.

기후변화 영향평가 모형을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급격한 토양수분의 감소가 발생하는 지역과 시간을 규명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 연구팀
지구 육지의 약 23%는 2046년 이내 심각한 토양수분 부족 현상이 나타날 것임

생합성 모사한‘열린’비타민 B3 합성법 개발
화학과 박승범 교수 연구팀
비타민 B3가 포함된 다양한 저분자 물질을 단일반응으로 얻을 수 있는 합성법이 소개됐다. 이는 다양한 생리활성 분자를 설계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장내 마이크로바이옴과 정서적 웰빙간 관계 규명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천랩 공동연구
최인철 교수 (심리학과 교수, 행복연구센터 센터장) 연구팀과 천종식 교수 (생명과학부 교수, ㈜ 천랩 대표) 연구팀은 학제 공동 연구를 통하여 정서적 웰빙과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지문의 역할 규명
물리천문학부 박건식 교수팀
지문은 손가락의 수분을 조절하는 미세 유체역학적인 통로로 초기 수분의 과다에 관계없이 손가락과 손가락이 닿는 표면 사이의 마찰력이 최대가 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최초로 규명

‘피부에 착’ 붙어 체온으로 전기 만드는 열전소자 개발
서울대 홍용택 교수팀
인간 피부에 완전히 밀착해 체온으로 자가발전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배터리 없는 웨어러블 기기를 동작시키는 등 다방면으로 이용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