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냉각이 필요없는 적외선 센서를 위한 원자 단위 리프트-오프 에피택셜 박막 박리
물리천문학부 장소연 교수팀
물리천문학부 장소연 교수팀이 별도의 냉각 장치 없이도 작동 가능한 세계 최고 성능의 적외선 센서를 구현하는 데 핵심적인 박막 박리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위성 분석을 통한 대도시 온실가스와 대기 오염도 관련성 처음으로 밝혀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 공동연구팀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가 온실가스 관측 인공위성을 사용하여 북반구 도시의 온실가스 배출 패턴 및 배출 특성 평가의 표준화기법을 개발하였다.

비브리오균의 과당 수송 유전자 전사조절기전 규명
생명과학부 석영재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석영재 교수 연구팀에 의해 고위험 병원균인 비브리오 콜레라균의 과당 (fructose) 수송 유전자 전사조절기전이 규명되었다.

물질 성장의 신호탄, 결정핵의 탄생 순간 세계 최초 관찰
화학생물공학부 박정원 교수 연구팀
화학생물공학부 박정원 교수 연구팀은 세계 최초로 핵생성 과정을 원자 수준에서 직접 관찰하는데 성공했다.

유연 기판 위 그래핀 미세 패턴 구현 성공
재료공학부 장호원 교수 연구팀
재료공학부 장호원 교수 연구팀이 사람이 착용하거나 접어 사용할 수 있는 차세대 기능성 전자 소자 연구를 크게 진척시킬 기술을 개발했다.

치매에서 보이는 타우병증의 새로운 기전 규명
생명과학부 정용근 교수 연구팀
치매에서 타우병리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세포막 수용체 단백질인 ALK를 발굴하고 그 기전을 규명하였다.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반도체로 이산화탄소를 유용 원료로 바꾼다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 연구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 연구팀이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반도체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유기물질로 전환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폐암의 재발을 매개하는 생물학적 기전 규명
약대 이호영 교수 연구팀
약대 이호영 교수 연구팀은 폐암의 재발 및 악성화를 매개하는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억제할 수 있는 치료전략을 제시하였다.

제비 둥지가 제비 하중 100배 이상 견디는 이유는?
기계공학부 김호영 교수 연구팀
진흙으로 만들어진 제비 둥지가 제비 하중의 100배 이상을 견딜 만큼 견고한 비결이 공학적 접근을 통해 밝혀졌다.

여러 가지 만성질환을 동시에 일으키는 13개의 '핵심유전자' 발견
의과대 한 범 교수 연구팀
질병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유전질병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새로운 길 열려...연구결과는 미국 인간유전학 저널 (IF=10.502) 최신호에 발표

다세포 조직체 내의 mRNA결합단백질 분석방법 찾았다
자연대 김종서 교수, 김빛내리 교수 공동연구팀
생물체내 mRNA와 상호작용하는 단백질을 높은 정확도와 효율로 동정 및 정량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 (FAX-RIC) 을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