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mRNA 백신 작동원리 세계 최초 규명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 연구팀
새로운 치료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는 mRNA 백신을 더욱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실마리를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석좌교수 연구팀이 밝혀냈다.
연구성과 게시판

자연대 이원종 교수팀, 입자물리학 표준모형 오류 단서 발견
입자물리학은 세상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입자들을 다루는 분야로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입자가 무엇이고 입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알아내어 자연현상의 본질에 대한 질문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고에너지 물리학(High energy physics)이라 불리기도 한다. 20세기에 수십년에 걸쳐서 이루어진 입자가속기 실험들을 통하여 입자물리학은 이론적으로 표준모형(Standard Model)을 정립하였다. 표준모형은 우주의 기본입자들이 쿼크와 렙톤과 게이지보존들로 이루어져 있다고 기술하면서 동시에 힉스입자의 존재를 예측하였다. 2013년 CERN의 연구팀이 표준모형의 예상과 일...

자연대 제원호 교수, 나노스케일 두께 수화층의 비선형 유동학적 특성 연구
물안이나 공기중에 노출된 친수성 표면 근처의 물분자들은 물분자간 결합보다 강하게 표면에 흡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표면의 물분자는 벌크 상태의 액체 물과는 전혀 다른 특성을 가지며 이러한 물층을 수화층이라 부른다. 그중 가장 주목할 만한 특성은 비선형 유동학적인 특성이다. 벌크 액체 물은 빠른 변형 속도에도 점성이 변하지 않는 선형적인 특성을 가진 반면, 수화층의 경우 빠른 변형 속도에 점성이 변하는 비선형성을 가진다는 것은 약 10년전부터 알려져 왔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주로 물분자 한층 두께의 실험에만 국한되어 물리적 특성 분석에는 한계가 있어왔다. 제원호 교...

자연대 박건식 교수 연구팀, 테라헤르츠파를 이용 DNA 주위 물분자 움직임과 분포층 규명
DNA 주위의 물분자는 DNA의 구조변화, DNA-단백질 상호작용 등에 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져 있다. 그동안 이러한 물분자 중에 DNA에 단단히 묶여 있는 느린(나노세컨드) 물분자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으나, 피코세컨드 타임스케일의 물분자에 대한 실험적 연구는 기술적 한계로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서울대 자연과학대학 물리천문학부 박건식 교수 연구팀의 공동연구원인 손혜진 서울대학교 테라헤르츠파기반 생체응용시스템 연구센터 연구원과 박재헌 포항가속기연구소 연구원은 테라헤르츠파 분광학을 이용하여 DNA 주위 물분자의 피코세컨드 타임스케일 움직임을 관찰함으로써, DNA...

농생대 양태진 교수 연구팀, 식물 진화 연구에 관한 첨단 유전체 해독 기술 완성
□식물 진화와 종 다양성 연구에 핵심 유전체 정보로 활용되는 엽록체 유전체와 핵 리보솜 유전자를 동시에 매우 효율적으로 완성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기술은 차세대유전체분석기술(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로 생산된 소규모 염기서열정보를 효율적으로 가공하여 유전체 정보를 완성하는 분석방법이며 기존의 방법에 비해 적은 비용으로 매우 빠르고 정확하게 완성할 수 있는 생물정보분석 기술이다. ○NGS기술은 최근 유전체 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수단이며 식물, 동물, 미생물 등의 연구에 매우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NGS로 생산된 데이터...

수의대 기무라 준페이 교수팀, 동아시아 너구리의 형태적 분류 확립
너구리는 러시아 극동지역으로부터 중국, 한반도, 일본, 베트남까지 분포하며, 유럽의 여러나라에도 인위적으로 도입되어 분포하고 있는 동아시아 고유종이다. 지금까지 너구리는 모두 같은 종으로 간주되어, 하나의 종으로 분류되어 왔다(학명: Nyctereutes procyonoides). 서울대학교 기무라(Junpei Kimura) 교수 연구팀과 일본 오비히로축산대학교 오시다 교수 연구팀은 동아시아 각 지역의 너구리 개체군이 조금씩 다른 형태를 가지며, 특히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대륙에 서식하는 너구리와 일본의 너구리는 형태적으로 크게 다르다는 것을 최초로 밝혀냈다. 러시...

자연대 최선호 교수 연구팀, 중성자 마법수 126인 미지의 원자핵의 생성방법 확인
□ 본 연구성과의 핵심 ○크세논과 백금이 충돌할 때 둘 사이에 여러 개의 핵자가 이동하는 반응을 이용하여 중성자 갯수가 마법수 126인 미지의 원자핵을 생성하는 단면적의 측정에 세계 최초로 성공하였다. ○중성자 개수가 마법수 126인 미지의 중성자과잉 원자핵들을 생성하는 방법으로 위의 반응이 최적이라는 것을 실험으로 증명하였다. ○생성 방법의 확립에 따라 126개의 중성자를 가진 원자핵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천체에서의 금이나 백금의 원소합성과정에 관한 연구를 진전시킬 수 있다. ○물리학분야에서 가장 권위있는 학술지인 Physical Review Letters에 20...

약대 연구팀, 간질환을 악화시키는 핵심원리 규명
□만성 간 질환(간경변증) 환자에서 ‘소포체 스트레스’가 질환을 악화시키는 핵심 원리를 본교 약대 약물학실 구자현 박사과정, 한창엽 박사가 밝혀 간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찾았다. ○이번 연구결과는 소화기 연구 분야의 최고 권위 학술지인 ‘게스트로엔테롤로지(Gastroenterology, 임팩트팩터=16.72)’와 ‘것(Gut, 임팩트팩터=14.66)’에 각각 게재되었다. 논문명과 정보는 다음과 같다. -논문명 :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in Hepatic Stellate Cells Promotes Liver Fibrosis...

농업기술대학원 김도만 교수팀, 비만 등의 억제 효과 기대 식품 소재 개발
김도만 교수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김도만 교수팀은 비만과 당뇨에 관련된 세포내 탄수화물 수송체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을 천연물의 생물전환기술을 통하여 개발하는데 처음으로 성공하였다. 연구팀은 미국 로잘린드 프랭클린 시카고 의대 연구팀과의 공동으로 컴퓨터시뮬레이션과 실제 실험의 접목을 통해 효소 전환 기술로 생산된 천연감미소재인 루부소사이드가 포도당과 과당 수송체를 동시에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감잎, 뽕잎, 적포도, 고사리 등에 있는 아스트라갈린을 생물전환 원천기술로 합성한 아스트라갈린 배당체는 과당 수송체 만을 선택적으로 저해함을 확인 하였다. 이...

농생대 연구팀, 모기 흡혈행동 메커니즘 규명 및 흡혈행동 억제 응용
□ 연구진 안용준 교수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공학부) 권형욱 연구교수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정제원 박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내용 및 의의 서울대학교 안용준/권형욱 교수 연구팀은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모기의 흡혈행동 중, 모기가 사람이나 동물의 혈액 냄새를 감지해서 신속히 흡혈을 하는 후각행동 메커니즘을 처음으로 검증하여 Nature 자매지이며 권위있는 학술지인 Scientific Reports 최근호(2015년 8월 26일 온라인 게재, http://www.nature.com/articles/srep13444)를 통해 발표하...

자연대 이준호 교수 연구팀, 세포노화시계 되돌리는 DNA 부위 최초 발견
□ 세포 노화의 시계로 알려진 염색체 말단을 변칙적으로 유지하는 새로운 기전의 단초를 세계최초로 발견 ○보건복지부가 연구중심병원 육성 사업으로 지원하고 있는 서울대학교 병원 ‘맞춤형 암-만성염증 극복을 위한 개방형 연구비즈니스 플랫폼 구축’ 과제의 이준호 교수팀(서울대 유전공학연구소, 서범석 박사, 김천아 박사과정, 천종식 교수 등)이 예쁜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을 모델로 사용하여 세포 노화의 시계로 알려진 염색체 말단 텔로미어를 암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유지하는 새로운 기전의 단초를 세계 최초로 발견하였다. ○본 논문에서 밝힌 대안적 텔로미...

자연대 김규범 교수 연구팀, 지진 전조 현상 발견해
자연 방사성 기체 토론(Rn-220)이 지진 발생 예측을 위한 탁월한 전조 현상을 보인다는 것을 세계 최초로 밝혀내었다. 가장 무서운 자연 재해인 지진을 예보하기 위한 수많은 방법들이 연구되어왔다. 특히, 화학성분의 측정 기술이 향상되면서, 물리적 계측이 불가능한 지구내부의 미세한 뒤틀림에 따른 기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그 중에서 방사성 핵종인 라돈(Rn-222)이 단연 가장 높은 감도를 보여, 고배 지진 등 많은 지진에서 전조를 보였다. 일반 기체와는 달리, 라돈은 암석에서 생성된 후 대기 중에서 방사붕괴에 의해 급격히 줄어들어 지구내부와...

의대 최은영 교수팀, CD8 T세포의 기억과 관용 형성 기전 규명
CD8 T 세포의 기억과 관용 형성의 중요성 ○CD8 T 세포는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와 같은 병원체 및 종양, 이식된 장기 등에서 발현되는 외부 항원을 인지한 후 이 외부항원을 발현하는 세포를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세포독성 T 세포이다. 외부항원들에 대한 CD8 T 세포 기억의 형성은 이 항원들에 재노출 되었을때 강하고 빠른 면역 반응을 일으켜, 감염 병원체나 종양을 퇴치하는데 기여하기 때문에 면역력 향상에 중요한 요인이다. 감염 병원체 항원에 대한 백신을 접종하는 이유는 바로 이와 같은 T 세포 기억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반대로, 특정 항원에 대한 CD8 T 세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