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냉각이 필요없는 적외선 센서를 위한 원자 단위 리프트-오프 에피택셜 박막 박리
물리천문학부 장소연 교수팀
물리천문학부 장소연 교수팀이 별도의 냉각 장치 없이도 작동 가능한 세계 최고 성능의 적외선 센서를 구현하는 데 핵심적인 박막 박리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공과대학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 ‘세계 화학자 100인’에 올라
유네스코와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IUPAC)이 선정한 '세계 화학자 100인'에 서울대 공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46) 교수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화학과 유룡(56) 교수 등 2명의 국내 화학자가 포함됐다. 현 교수는 화학분야 37위와 재료 분야 17위에 올랐으며, 유 교수는 화학 분야 39위를 차지했다. 이 명단은 전 세계 100만 명의 화학자들이 지난 10년간 발표한 연구논문들 가운데 논문 영향력 지수가 가장 높은 순서로 집계됐으며 여기에 포함된 화학자들은 상위 0.01%에 해당된다. 현 교수가 지난 13년간 발표한 160편 이상의 논문은 전 세계적으로 ...

의과대학 의학과 심혈관줄기세포연구실 김효수·이세원 교수팀, 혈관생성 단백질 메커니즘 첫 규명
혈관 불충분한 허혈성질환 치료 전기 서울대병원 심혈관줄기세포연구실 김효수·이세원 교수팀은 혈관 생성 촉진 단백질인 ‘안지오포이에틴(Angiopoietin)-1’이 혈관전구세포(endothelial progenitor cells)를 조절해 혈관을 재생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혈액학 분야 권위지인 ‘블러드(Blood)’지 인터넷판에 실렸다. 연구팀에 따르면 안지오포이에틴-1은 건강한 혈관 생성을 촉진하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었지만, 지금까지 그 메커니즘은 규명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안지오포이에틴-1이 줄기세포의 일종인...

치의대대학원 이성중 교수 연구팀, 가려움을 일으키는 원인물질과 이 물질과 반응하는 감각신경세포 발견
국내 연구진이 가려움을 일으키는 원인물질과 이 물질과 반응하는 감각신경세포를 발견해 아토피 등 가려움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길을 찾았다. 서울대 치의대대학원의 이성중 교수와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주립대의 한상규 교수 공동연구팀은 항바이러스 기능을 지닌 화합물인 ‘이미퀴모드’라는 물질이 우리 몸의 척수신경절에 있는 특정 감각신경세포를 자극해 뇌에 가려움증이 전달되는 원리를 밝혀낸 논문을 (PNAS) 온라인판에 실었다고 13일 밝혔다. 가려움은 흔한 경험이지만, 그 감각이 어떻게 발생하고 우리가 어떻게 인식하게 되는지 등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왔다. 이 교수는 “보통...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정구흥 교수팀, 암세포 전이 촉진 유전자 발현 규명
암과 관련된 여러 유전자의 동시적 발현현상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통해서만 간암 전이를 이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정구흥 교수팀은 일반적으로 암억제 유전자로 알려진 p53 유전자가 과다 발현할 경우 다른 역할의 암 유전자에 영향을 줘 암세포 전이 증가 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8일 밝혔다. 이 연구성과는 간질환 저명 학술지 '간장학'에 실렸다. 연구진은 발달 단계가 3등급인 간세포암을 대상으로 정상 p53 유전자의 발현 증가 및 돌연변이형 p53 발생이 노츠1(Notch1)과 스네일(Snail) 등 타 유전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인문대학 종교학과 배철현 교수,「창세기, 샤갈이 그림으로 말하다」출간
"샤갈 그림의 원천은 유대인 공동체" 유대계 러시아인 화가 마르크 샤갈(Chagall, 1887~1985)의 그림들을 하나의 종교학적 문헌으로 삼아 해석한 책이다. 서울대 종교학과 교수인 저자는 샤갈이 구약성서를 소재로 그린 그림들이 왜 미켈란젤로·렘브란트·카라바조 등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를 대표하는 화가들의 성화(聖畵)들에서는 느낄 수 없는 감동과 떨림을 주는지에 대해 의문을 갖는다. 저자는 유대교 공동체에서 교육받은 샤갈이 구약성서의 히브리어 본문 내용과 그 숨겨진 의미를 완전히 이해하고 그림을 그렸던 처음이자 마지막 화가였다고 생각한다. 라틴어와 그리스어로 번...

공과대학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의과대학 의학과 영상의학교실 문우경 교수, 내과학교실 박경수 교수 공동연구팀, 세포 관찰가능 MRI조영제 개
세포 단위까지 관찰할 수 있는 MRI(자기공명영상) 조영제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기존 조영제보다 3배 이상 월등한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이식한 세포가 제대로 기능하는지를 오랫동안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다. 앞으로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 치료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택환 서울대 중견석좌교수팀은 서울대병원 문우경ㆍ박경수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강자성 산화철 나노입자를 이용한 단일 세포 수준에서 정밀 영상화와 이식된 췌도 세포의 장기간 영상화`에 성공했다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연구논문은 나노 분야 저널인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31일 게재...

서울대 중국어문학연구소 500만자 분량 10권 출간
중국 주(周)나라 이래 남북조시대 양(梁)나라에 이르기까지 중국 문단의 주옥같은 시문 750편을 골라 문체별로 묶은 ‘문선(文選)’을 서울대 중국어문학연구소가 국내 처음으로 완역해 ‘문선역주’(소명출판) 10권으로 선보였다. 고대 한문의 어휘와 전고(전례와 고사), 용례의 보고인 문선이 완역됨에 따라 중문학 한문학뿐만 아니라 고대 한문 어휘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서기 527∼529년 사이에 출간된 문선은 중국뿐만 아니라 한반도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쳐 고구려의 대학인 경당(경堂)과 통일신라의 국립대학인 국학에서도 기본 교재로 채택했다. 조선시대 서거정은...

이광수 ‘무정’·中 루쉰 ‘아Q정전’ ‘근대 수용 자세’ 어떻게 다를까
김윤식교수 평론집 ‘다국적 시대의 우리 소설 읽기’ 문학평론가인 김윤식(74) 서울대 명예교수가 평론집 ‘다국적 시대의 우리 소설 읽기’(문학동네)를 최근 펴냈다. 2009년 한 해 동안 각종 세미나와 문학제, 문예지 등에 발표한 글 12편을 모은 평론집에서 김 교수는 김동리·서정주·이광수·이병주·이호철·박상륭·김연수 등 여러 문인의 작품론을 통해 다국적 시대 한국 문학이 가는 길을 살펴본다. 특히 ‘벽초와 이청준을 잇는 어떤 고리’라는 제목의 평론에서 김 교수는 홍명희의 ‘임꺽정’과 김은국의 ‘순교자’와의 관계 속에서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이 어떻게 한국적 특...

국내외 韓연구진, 바이오연료 합성 장애 극복
국내외 韓연구진, 바이오연료 합성 장애 극복 재미 한국인과 국내 대학 공동 연구진이 식물을 이용한 에탄올 생합성의 장애물을 극복, 바이오 연료 생산 효율 개선의 길을 열었다. 일리노이대 진용수 교수와 박사후 과정 하석진 연구원, 서울대 서진호 교수 등이 참여한 한미 공동 연구진은 식물 속 포도당과 자일로스를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효모균주(Saccharomyces cerevisiae)를 확립하고, 이를 이용한 동시발효법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포도당이 효모균에서 발효 먹이로 선호되는 반면 식물의 잎.줄기에 풍부한 리그노셀룰로스의 구성 요소인 자일로스는 발효가 잘...

의대 김정훈 교수팀, 금나노입자가 미숙아 망막병증 치료
의대 김정훈 교수팀, 금나노입자가 미숙아 망막병증 치료 서울대 의대 김정훈 교수팀은 미숙아(37주 이전 출산)에 흔한 망막병증 치료에 금 나노입자가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5일 밝혔다. 망막병증은 미숙아 중에 25% 비율로 생기는 병으로, 사물을 제대로 보지 못하고 심해지면 실명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김정훈 교수팀은 인위적으로 미숙아 망막병증을 생기게 한 쥐에 금 나노입자를 주사로 투여했다. 그 결과 금 나노입자가 망막병증을 일으키는 단백질을 억제, 망막병증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관련 성과를 국제학술지 '바이오머티리얼즈(Biomaterials)...

의과대학 박종완 교수팀, 곰팡이 추출물 간암 억제 효과 증명
의과대학 박종완 교수팀, 곰팡이 추출물 간암 억제 효과 증명 국내 연구진이 흙에 사는 곰팡이에서 추출한 항생물질이 간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처음 밝혀냈다. 서울대 의대 박종완(49·사진) 교수 연구팀은 19일 흙곰팡이(케토미움) 균종에서 분비되는 ‘케토신’이라는 항생물질이 암 세포의 혈관 형성을 차단해 간암의 성장을 막는다는 사실을 동물실험을 통해 규명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의 성과는 간암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을 연 것으로 평가돼, 간 관련 국제학술지인 온라인판에 실렸다. 연구팀은 암 성장에 관여하는 히스톤 단백질의 관련 효소가 케토신에 의해 억제된...

지구환경과학부 정해명 교수, '피인용지수 높은 50개 논문' 선정
지구환경과학부 정해명 교수, '피인용지수 높은 50개 논문' 선정 지구환경과학부 정해명 교수의 논문이 지구과학분야의 저명한 국제 SCI저널 「Tecotonophysics」에서 선정한 피인용지수가 가장 높은 50개의 저널(Top-50 most cited article) 중 하나로 뽑혔다. 「Tecotonophysics」저널은 지난 5년간 (2005년~2010년) 출판된 논문을 대상으로 Top-50 most cited article을 선정하였으며, 정해명 교수의 논문인 'Effect of water and stress on the lattice-preferred or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