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mRNA 백신 작동원리 세계 최초 규명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 연구팀
새로운 치료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는 mRNA 백신을 더욱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실마리를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석좌교수 연구팀이 밝혀냈다.
연구성과 게시판

생명과학부 김재범 교수팀, 지방 합성에 따른 신장암 발병 메커니즘 규명
□ 신장암을 유발하는 새로운 조절 메커니즘을 발견함 ○본 연구팀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김재범 교수팀과 서울대병원 곽 철 교수팀, 삼성서울병원 남도현 교수팀은 공동연구를 통하여 지방대사와 세포주기 이상 조절에 따른 신장암 발병의 새로운 경로를 규명함. ○이에 따라 신장암 바이오마커 및 항암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신장암의 발병 원인 규명을 통한 신장암 진단 및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단서를 제공 ○신장암은 전체 암 발생의 약 2~3%를 차지하며 우리나라에서도 지속적으로 발병률이 증가하는 추세임. 현재까지 신장암은 적합한 바이오마커...

생명과학부 김재범 교수 연구팀, 고지혈증에 의한 당뇨병 유발 기전 규명
□ 지방조직 염증반응에 의한 당뇨병 유발 기전 규명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김재범 교수 연구팀은 지방조직 내 염증반응에 의한 당뇨병 유발의 새로운 기전임을 규명함. ○본 연구를 통하여 염증반응 제어가 새로운 당뇨병 치료제 개발에 핵심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함. □ 고지혈증에 의한 염증반응 조절 기전을 규명하여 당뇨병 치료에 새로운 발판 제공 ○전 세계적으로 비만 인구 증가에 따른 고지혈증, 당뇨병 등의 성인병 환자 수가 급증하는 추세임. 그러나 고지혈증에 의한 당뇨병 발병 기전 연구는 부족한 실정임. ○본 연구진은 고지혈증에 의해 증가된 지방대사물을 면역세포 (대식세...

생명과학부 정구흥 교수 연구팀, 악성 간암에서 관찰되는 텔로미어 신장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 제시
간암은 세계적으로 발병률이 급증하는 추세로 세계 암사망률 2위임. 초기 간암은 수술 (Surgical therapies), 국소영역치료 (Locoregional therapy) 등의 치료방법이 효과적으로 적용되지만, 악성 간암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malignant HCC)을 타겟하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은 부족함. 한국은 암치료기술이 증가하면서 모든 암에서 선진국과 비슷한 암생존률을 보임. 간암의 경우 미국, 캐나다보다 높은 암생존률을 보이고 있으나 한국인의 호발암들과 비교해서 여전히 생존률이 낮은 암임. 간암 발병은 과거에...

산림과학부 박일권 교수팀,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및 예찰 친환경 제품 실용화 성공
□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인 북방수염하늘소 집합-성 페로몬 밝혀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북방수염하늘소 수컷으로부터 집합-성 페로몬인 모노카몰 구조를 최초로 밝혔음 ○연구결과는 곤충페로몬 관련 전문 외국학술지인 화학생태학회지(Journal of Chemical Ecology) 2017년 7월호 표지논문으로 실렸음 ○본 연구성과는 국립산림과학원과 벤처기업 케이아이피(대표: 이동하)와의 산학연 공동연구를 통해 도출된 국산화 기술개발임 □ 현장 실용화시험을 통해 유인력 검증 확보 ○소나무재선충병의 확산을 차단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은 매개충인 하늘소류 성충을 방제하는 것인데...

식물생산과학부 양태진 교수팀, 유전체 정보를 통해 인삼과 인삼 근연식물의 진화와 기원 규명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양태진 교수팀은 인삼유전체 연구를 통해 인삼의 진화 비밀을 밝히는 2개의 우수 논문을 국제 우수 학술지 Scientific Reports (Nature 자매지) 에 2017년 7월 7일(금)과 8월 22(화)일 연이어 게재하였다. (김경희 제1저자, 이준기 제1저자) ○양태진 교수팀은 인삼 15 품종과 야생산삼의 유전체 정보 뿐 아니라, 인삼, 미국인삼 (화기삼), 전칠삼, 죽절삼, 베트남삼 등 인삼속 식물 5종과 두릅나무속 2종, 오가피속 2종, 황칠나무 등 10종의 식물에 대한 소규모 전장유전체 시퀀싱을 통해 식물 진화와 종 다양성 연구...

생명과학부 이준호 교수, 꼬마선충으로 밝히는 행동조절 유전자 진화의 비밀
□ 꼬마 RNA를 통한 행동 진화의 새로운 조절 기작을 발견함 ○예쁜꼬마선충은 열악한 환경에서 다우어라는 특수한 유충으로 발생하여 몸을 세워 흔드는 일종의 웨이브 댄스와 유사한 행동을 나타내는데, ‘닉테이션’이라고 불리는 이 행동은 선충이 다른 동물에 히치하이킹하여 새로운 서식처로 이동하는 것을 돕는 행동임 (본 연구진의 2012년 연구결과 밝혀짐) ○본 연구진은 영국산 꼬마선충은 닉테이션 행동을 잘하는 반면 하와이산 꼬마선충은 잘 하지 못하는 것을 발견함. ○이들의 행동 차이에 대한 유전적 분석을 통해, 놀랍게도 꼬마 RNA (small RNA)의 한 종류인 파이R...

심리학과 최진영 교수 연구팀, 스트레스가 의사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다이어트 중 스트레스가 많은 날 체중계에 올라가면 안 되는 이유가 있다. 또 성적이 떨어진 고3 수험생이 독서실보다는 PC방에 가서 많은 시간을 허비하고 후회하는 경우를 종종 본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최진영 교수 연구팀은 예일의대 신경과학과 이대열 교수와의 공동연구에서 사람들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내리는 의사결정 과정을 실험심리학 패러다임과 전산모델링을 통하여 연구하여 스트레스가 사람들의 일상적인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의식하건 못하건 사람들은 매일 매일 의사결정을 하면서 살아간다. 이때 작용하는 행동원리는 크게 두 가지로 자신이 추구하는 목적을 위하여...

치의학대학원 안진수 교수 공동연구팀, 해양 생물의 접착력을 치과치료에 응용 가능한 접착제 개발
□ 치과치료, 해양생물은 이미 알고 있었다 ○홍합과 같은 해양 고착생물은 파도가 심하게 치는 바닷물에서도 바위에 강하게 붙을 수 있다. 세계 많은 과학자들이 해양생물을 모방한 접착제 개발에 힘써왔으며, 다양한 성과들을 얻어냈으나 임상 응용 측면에서는 부족함이 있었다. 그런데 이번에 서울대-캘리포니아대 국제공동연구팀이 해양생물의 접착력을 실제 치료에 응용할 수 있는 나노 접착제를 개발하는 데 성공하였다. ○해결의 실마리는 치과치료에서 나왔다. 치과의사는 타액이 많고 악조건인 구강에서 치아에 수복재료를 붙이기 위하여 산(酸)을 이용하여 치아표면을 준비하고 접착제가 잘 붙...

지구환경과학부 김종성 교수, 해양환경 분야 국제학술지에 '황해생태계'연구 특별호 출간
서울대학교 김종성 교수는 해양환경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저명한 학술지(SCI)인 ‘Chemosphere’에 우리나라 서해갯벌을 포함한 “황해생태계”를 주제로 특별호를 출판하였다. Chemosphere에서 우리나라 해역과 생태계를 주 대상으로 하여 특별호로 출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금번 ‘황해생태계’ 특별호는 지난해 3월 서울대 주최로 열린 ‘제2회 황해생태계(Yellow Sea Ecosystem Symposium, 이하 YES): 오염, 생태계 위협, 환경과 건강’이란 한·중 국제심포지움에서 발표된 총 60여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리뷰 과정으로 거쳐 학술적으로 우수...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남좌민 교수팀, 초저농도 표적 유전자 진단 원천기술 개발
□ 내용 및 의의 o 서울대학교(총장 성낙인)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남좌민 교수팀은 유동성 있는 생체모방 지지형 지질 이중층 (supported lipid bilayer, SLB) 위에서 DNA가 수식된 금 나노입자의 결합 및 해리 반응의 동력학적 현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수십에서 수천 가닥 정도의 미량의 표적 유전자를 정밀하게 정량화하는 원천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다. 두 개의 금 나노입자 사이에서 단일 가닥의 표적 DNA가 가역적으로 혼성화하는 반응 과정을, 개개의 금 나노입자가 이합체로 결합되었다가 해리되면서 변화되는 산란 (scattering) 신호로부터 ...

자연대 김성근 교수 연구팀, 135년 동안 사용된 분자의 숨겨진 광안정성 비밀 발견
분자가 에너지를 받아 들뜬 상태가 되는 과정은 분자의 성질과 화학반응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기 때문에 오랫동안 다양한 분야에서 지대한 관심을 받아온 현상이다. 특히 소자가 작동하는 에너지원으로 빛을 사용하는 OLED와 유기태양전지 등이 최근 첨단기술로 대두되면서 이들의 구성물질인 염료 분자의 들뜬 상태와 동적 변화에 대한 관심 또한 급격히 고조되고 있다. 최근 서울대학교 화학부 김성근 교수 연구팀은 1882년 발견된 이래 미국 FDA와 EU의 승인을 받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어온 황색 염료인 퀴놀프탈론이라는 물질(상업명 퀴놀린 옐로우)이 갖는 특이한...

지구환경과학부 이성근 교수팀, 거대 지진의 단층면 마찰용융과정 원자 단위 메커니즘 규명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이성근 교수 연구팀은 경상대 한래희 교수, 안동대 정기영 교수, 일본 해양연구개발기구의 히로세 박사와 공동으로, 거대지진의 발생에 수반되는 단층에서 마찰용융과정의 새로운 원자 단위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관련 논문이‘Nature Geoscience’에 2017년 5월 15일(월) 24시 온라인판에 게재되었다 (http://www.nature.com/ngeo/). ○논문제목 : Quasi-equilibrium melting of quartzite upon extreme friction ○학술지 : Nature Geosci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