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mRNA 백신 작동원리 세계 최초 규명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 연구팀
새로운 치료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는 mRNA 백신을 더욱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실마리를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석좌교수 연구팀이 밝혀냈다.
연구성과 게시판

‘영화처럼 화면 자유자재로’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 개발
재료공학부 이태우 교수 연구팀
SF 영화 속에 등장하는 자유자재로 휘거나 접히고 피부에 부착해 사용할 수도 있는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의 개발이 한 걸음 가까워질 전망이다.

빛으로 동작하는 컴퓨팅 시대 이끌 격자 매질 개발
전기정보공학부 박남규 교수 연구팀
차세대 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광학/양자 컴퓨팅 실용화를 위한 원천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전자 1개가 여러 원자에 존재하는 새로운 양자상태 발견
물리천문학부 박제근 교수팀
자성을 띤 2차원 물질에서 독특한 신호를 발견하고, 이 신호가 전자 1개가 여러 원자에 나뉘어 존재하는 양자다체상태의 새로운 엑시톤 임을 밝혀내었다.

전기 변색 기반한 새로운 디스플레이 소재 개발
전기·정보공학부 이병호 교수 연구팀
전기·정보공학부 이병호 교수, 화학부 정택동 교수 등 공동 연구팀이 전기 변색 물질인 산화텅스텐 나노 박막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소자를 개발했다.

획기적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 장수명 발광 다이오드(LED) 개발
재료공학부 이태우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태우 교수 연구팀(김호범 박사, 김주성 연구원, 허정민 연구원)이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로 각광받을 발광 다이오드(LED)를 개발했다.

방사선 피폭 때 생기는 활성산소 제거 나노입자 개발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석좌교수, 박경표 치의학대학원 교수 연구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석좌교수와 박경표 치의학대학원 교수 연구팀은 방사선 조사 시 유발되는 과량의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는 나노입자를 개발했다.

서울대 공대 김건희 교수팀 인공지능 시스템, 세계서 인정
컴퓨터공학부 김건희 교수 연구팀
서울대 공대 컴퓨터공학부 김건희 교수팀과 이 연구실에서 창업한 스타트업 리플에이아이가 최근 세계적 규모의 인공지능 챌린지 3개 대회에서 우승하고 뛰어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동해 해수 순환의 구조와 변동 원인 규명
지구환경과학부 남성현 교수팀
자연과학대학 남성현ㆍ 조양기 교수팀이 동해 심층 해수 생성 과정의 변동에 수반되는 중층 및 심층 해수의 순환 구조와 그 변동 현상을 최초로 발견하였다.

유전자 조절망에 기반한 식물 저장뿌리의 비대 생장 조절 전략 발견
생명과학부 이지영 교수 연구팀
한국의 대표적 뿌리 작물인 무의 유전자 발현 조절망 규명을 통해 기후 변화에 지속 가능한 작물의 생산 전략 제시

유전자 발현 조절하는 'RNA 결합부위' 발견
김빛내리 석좌교수, 김종서 책임연구원 연구팀
RNA와 결합하는 RNA 결합단백질 정확한 결합 부위 발견. 질병과 세포 기능에 관련된 단백질의 조절 기작을 밝히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

포항 지진 사례 통한 지진 발생 메커니즘 논문 출간
지구환경과학부 이강근 교수 공동 연구팀
포항지진 정부조사연구단에 참여했던 주요 연구자들이 포항 Mw 5.5 지진 사례를 통해 물 주입에 따른 촉발/유발지진 발생 메카니즘을 제시한 “Causal mechanism of injection-induced earthquakes through the Mw 5.5 Pohang earthquake case study”논문을 자연과학분야의 권위있는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5월 26일(화)자에 게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