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냉각이 필요없는 적외선 센서를 위한 원자 단위 리프트-오프 에피택셜 박막 박리
물리천문학부 장소연 교수팀
물리천문학부 장소연 교수팀이 별도의 냉각 장치 없이도 작동 가능한 세계 최고 성능의 적외선 센서를 구현하는 데 핵심적인 박막 박리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박윤 교수, 강도 2배 높인 새 금속재료개발, 네이처지 게재
High-frequency micromechanicl resonators form aluminium-carbon nanotube nanolaminates- 탄소나노튜브와 알루미늄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진 나노박막으로 개발한 고주파 마이크로역학 공진기연구 배경일반적으로 고주파 공진기는 그 쓰임새가 다양하다. GPS내에서 시계로 사용되기도 하고, 자동차에서 가속장치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에어백 장치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하며, 미세한 바이러스를 감지할 수 있는 생물학적 센서로도 사용이 된다. 이러한 공진기는 아주 간단한 추에서부터 공진기-레이저 ...

의대 이정원교수, 간암발병기전 규명
의대 이정원 교수, 간암발병기전 규명우리나라 간암환자들의 암조직에서 주로 발현되는 막수용체인 'TM4SF5'에 의한 상피-중배엽세포 전이가 간암세포의 증식을 초래한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서울대의대 이정원 교수팀은 “암세포들의 성향은 세포형태, 흡착, 액틴 골격의 재구성에 따른 세포-세포간의 흡착이 와해로 인해 이동성이 증대될 수 있는 중배엽세포 형태로의 분화에 의한다”며 “TM4SF5는 암관련 유전자로 추정됐으나 이에 대한 기능 연구가 이루어진 바가 없어 TM4SF5가 어떻게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했다”고 말했다.이교수팀에 따르...

약대 서영준교수팀 '젊은과학자상' 9년 연속 수상
이 상은 학회 학술위원회의 엄정한 심사를 거쳐 선별된 우수논문을 제출한 젊은 과학자들에게 수여되며, 시상식에서 상금과 함께 상패가 수여된다. 특히 수상자들의 논문은 뛰어난 연구성과를 인정받아, 미니 심포지움에서 구두발표를 하도록 초청되었다.서영준 교수 연구실에서는 2000년 본 실험실 1호 박사인 천경수 박사(현 미국 국립환경과학연구소 박사후 연구원)의 첫 수상 후 9년간 수상자를 배출하는 진기록을 세우게 되었다. 100년 역사를 자랑하는 미국암학회는 매년 2만여명이 참석하며 발표되는 논문만도 9천여편에 이른다. 매년 수상자를 배출한 서영준 교수는 화학 암예방 (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