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고 안전성, 고 이온전도성 신규 염화물 고체 전해질 개발 전략 제시
재료공학부 강기석 교수 연구팀
재료공학부 강기석 교수 연구팀은 삼방정계 구조의 염화물 고체 전해질의 구조적 특성인 금속 이온의 조성 및 배치가 리튬 이온의 전도성에 미치는 영향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서영준 교수팀, 포도씨 추출 폴리페놀 항암효과 규명
서울대 서영준 교수팀, 포도씨 추출 폴리페놀 항암효과 규명약대 서영준 교수 연구팀이 27일 일본 삿포로에서 열린 ‘기능성 폴리페놀 국제학회’에서 포도씨와 리치에서 추출한 식물성 천연물질 폴리페놀이 암 예방 및 치료에 큰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해 국제 암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서 교수팀은 지난 3월까지 미국암학회가 주는 ‘젊은 과학자상’을 9년 연속이나 받는 등 국내외 의약분야에 널리 알려진 과학자이다.서 교수는 이날 폴리페놀로 만든 의약 성분 올리고놀을 쥐 피부에 바른 뒤 자외선을 쪼인 결과 암을 비롯한 각종 변성 질환에 관계된 세포의 증식이 억제됐다고 발표해...

박영우 교수, 스웨덴 왕립 한림원 연구상 수상
물리천문학부 박영우 교수, 스웨덴 왕립 한림원 연구상 수상물리천문학부 박영우(56) 교수가 스웨덴 왕립한림원이 수여하는 '야곱&마르쿠스 월렌버그 형제 기념재단 연구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박 교수는 왕립한림원으로부터 상금 5만크로나(약 900만원)를 받게 되며 안식년을 맞아 11월부터 내년 1월까지 스웨덴 예테보리대와 차머스 공과대학에서 스웨덴 연구진과 공동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서울대 나노응용시스템 국가핵심연구센터(NSI-NCRC)의 일원인 박 교수는 나노섬유 전도성 고분자 및 탄소나노튜브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2008. 6. 30서울대학교 홍보부

방치된 뱃살, 식도까지 위협한다
방치된 뱃살, 식도까지 위협한다뱃살이 식도까지 심각하게 손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내장지방이 역류성식도염의 주범이라는 지적이다. 김동희, 정수진 서울대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소화기내과 교수팀은 26일"건강검진 받은 7078명을 조사한 결과 내장지방이 역류성식도염을 일으키는 주요원인이었다"고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내장지방이 거의 없는 정상군에 비해 많은 군의 역류성식도염 유병률은 1.6배 높았다. 내장지방 정도가 심해짐에 따라 역류성식도염 유병률도 점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복부비만이 있는 군도 없는 군에 비해 역류성식도염 유병률이 1.47배 높...

권성훈 교수, 획기적인 유체자기 조립기술 개발로 네이처지 표지논문 등재
권성훈 교수, 획기적인 유체자기 조립기술 개발로 네이처지 표지논문 등재전기공학부 권성훈 교수의 새 논문이 세계에서 연구 영향력이 가장 높은 국제 학술지 네이처지의 표지 논문으로 선정되었다. 연구 배경 및 현황하나의 큰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는 각기 여러 가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칩이나 디바이스들이 하나의 기판에 조립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렌즈, 필터, 다이오드, 미러 등과 같은 디바이스들이 모여서 하나의 광학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한번의 프로세스로 성사되기는 힘들다. 왜냐하면, 구성물질도 다를 뿐만 아니라 프로세스 방식이 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박종일 교수, 60년 수학 난제 풀어 4차원 공간을 입증
박종일 교수, 60년 수학 난제 풀어 4차원 공간을 수학적으로 입증국내 수학자들이 60여년간 남아 있던 수학 난제를 풀어 새로운 4차원 공간을 수학적으로 입증해 세계적인 격찬을 받고 있다.박종일(45)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와 이용남(44) 서강대 수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4차원 다양체에 대한 ‘세베리의 추측’의 오류를 증명하고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4차원의 존재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세계 3대 수학학술지 중 하나인 독일 ‘인벤쇼네스 마테마티케(Inventiones Mathematics)’의 지난해 12월 호에 발표돼 세계 수학계의 검증을...

최선호 교수, 원자핵 내부 소립자 결합상태 규명
물리학과 최선호 교수, 원자핵 내부 소립자 결합상태 규명해 중성자 별의 신비 풀어내 사이언스지에 발표거대한 별이 초신성 폭발과 함께 죽어가면서 마지막으로 가끔 남기는 게 중성자별이다. 초신성 폭발 과정에서 별의 중심부가 압력을 받아 수축하면서 양성자와 중성자로 돼 있던 물질 대부분이 중성자로 변하면서 중성자별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중성자별의 밀도며 내부 구조, 크기의 한계 등 그 정체가 베일에 가려져 있다.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최선호 교수를 포함한 한국·미국·영국·사우디아라비아·슬로베니아·아르메니아 등 11개국 57명의 물리학자로 구성된 연구팀이 그 비밀을 풀...

이왕재 교수, 비타민 C의 항암효과 밝혀내
의대 이왕재 교수"항암치료와 병행하면 효과적"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이왕재 교수 연구팀은 비타민C가 투여량에 따라 암세포 증식 억제에서 암세포 사멸까지 유도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내었다. 이왕재 교수는 25일 0.2밀리몰(mM) 정도의 저용량 비타민C를 악성 피부암의 일종인 '생쥐흑색종' 세포에 투여하는 실험을 통해 비타민C가 세포주기 조절에 관여,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한다는 사실과 그 메커니즘을 밝혀냈다고 말했다.이 교수팀은 이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세포생화학저널(Journal of Cellular Biochemistry. 2007년 11월호)'과 '세포생리학저널(...

박윤 교수, 강도 2배 높인 새 금속재료개발, 네이처지 게재
High-frequency micromechanicl resonators form aluminium-carbon nanotube nanolaminates- 탄소나노튜브와 알루미늄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진 나노박막으로 개발한 고주파 마이크로역학 공진기연구 배경일반적으로 고주파 공진기는 그 쓰임새가 다양하다. GPS내에서 시계로 사용되기도 하고, 자동차에서 가속장치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에어백 장치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하며, 미세한 바이러스를 감지할 수 있는 생물학적 센서로도 사용이 된다. 이러한 공진기는 아주 간단한 추에서부터 공진기-레이저 ...

의대 이정원교수, 간암발병기전 규명
의대 이정원 교수, 간암발병기전 규명우리나라 간암환자들의 암조직에서 주로 발현되는 막수용체인 'TM4SF5'에 의한 상피-중배엽세포 전이가 간암세포의 증식을 초래한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서울대의대 이정원 교수팀은 “암세포들의 성향은 세포형태, 흡착, 액틴 골격의 재구성에 따른 세포-세포간의 흡착이 와해로 인해 이동성이 증대될 수 있는 중배엽세포 형태로의 분화에 의한다”며 “TM4SF5는 암관련 유전자로 추정됐으나 이에 대한 기능 연구가 이루어진 바가 없어 TM4SF5가 어떻게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했다”고 말했다.이교수팀에 따르...

약대 서영준교수팀 '젊은과학자상' 9년 연속 수상
이 상은 학회 학술위원회의 엄정한 심사를 거쳐 선별된 우수논문을 제출한 젊은 과학자들에게 수여되며, 시상식에서 상금과 함께 상패가 수여된다. 특히 수상자들의 논문은 뛰어난 연구성과를 인정받아, 미니 심포지움에서 구두발표를 하도록 초청되었다.서영준 교수 연구실에서는 2000년 본 실험실 1호 박사인 천경수 박사(현 미국 국립환경과학연구소 박사후 연구원)의 첫 수상 후 9년간 수상자를 배출하는 진기록을 세우게 되었다. 100년 역사를 자랑하는 미국암학회는 매년 2만여명이 참석하며 발표되는 논문만도 9천여편에 이른다. 매년 수상자를 배출한 서영준 교수는 화학 암예방 (ca...